타일 및 방수 일기

타일기능사 실기시험 출제기준

공마수 2025. 7. 10. 07:00
728x90
반응형

타일기능사 실기시험 출제기준

 

직무문야 : 건설 > 건축 > 타일기능사

적용기간 : 2020.1.1~2023.12.31

직무내용 : 건축구조물의 내외벽, 바닥, 천장 등에 타일 부착용구와 절단용 공구 및 장비를 사용하여 각종 타일을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기타 접착제로 붙여서 마감하는 직무이다.

수행준거

1. 설계도면을 이해하여 시공순서 및 방법을 숙지하고 관련된 자재의 선정 및 소요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2. 타일 시공면의 바탕처리 및 기준 잡기 후 타일을 가공하여 타일 붙임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3. 타일 시공 후 타일면을 보호 양생하고, 잔재를 정리할 수 있다.

 

타일 시공 도면 파악

1. 도면 기본 지식 파악하기

- 도면에 따라 기능과 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 도면에서 지시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 도면에 표기된 각종 기호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2. 기본 도면 파악하기

- 도면에 따라 구조물의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상세도를 구분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재료의 종류를 구분하고 가공위치 및 가공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재료의 종류별로 시공해야 할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3. 현황 파악하기

- 도면에 따라 현장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현장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구조물의 배치를 파악활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구조물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다.

 

타일 시공 현장 안전

1. 안전보호구 착용하기

- 현장안전수칙에 따라 안전보호구를 올바륵데 사용할 수 있다.

- 현장 여건과 신체조건에 맞는 보호구를 선택 착용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안전에 부합하는 작업도구와 장비를 휴대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작업안전 보호구의 종류별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안전 시설물들을 파악할 수 있다.

 

2. 안전시설물 설치하기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시설물설치기준에 따라 안전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다.

- 안전보호구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요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안전시설물의 종류별 설치위치, 설치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안전시설물 설치계획도를 숙지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구조물 시공계획서를 숙지할 수 있다.

- 현장 안정을 위하여 시설물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3. 불안전시설물 개선하기

- 현장 안전을 위하여 기 설치된 시설을 정기 점검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안전시설물이 제대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유지되고 있지 않을 시 교체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불안전한 시설물을 조기 발견 및 조치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불안전한 행동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 현장 안전을 위하여 안전관리요원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작업 준비

1. 작업지시서 확인하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물량 · 종류 · 치수를 파악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자재마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 시공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2. 자재 검수하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생산된 자재의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가공된 수량 · 종류 · 치수 · 표면가공 상태를 검수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자재의 품질관리, 인증품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불량품들을 다른 자재와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3. 자재 가공하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가공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 재질 모양에 따라 절단기를 이용하여 자재를 가공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석재 중 판재일 경우 표면 마감 후 2차로 자재를 가공할 수 있다.

※ 석재 : 석재(石材)는 건축에 사용되는 재료의 하나로, 산지에서 분리된 개개의 작은 암석 또는 자연암석에서 채취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가공한 것이다. 건축에 이용되는 석종은 화강암, 대리석이 대표적이며 화가암은 외장재, 대리석은 고급 내장재로 선호된다. 그 외에 샌드스톤, 라임스톤, 트라버틴, 현무암(화산석) 등이 있다.

※ 판재 : 板材 널빤지로 된 재목. 관(棺)을 만드는 재목. 관재(棺材).

- 작업지시서에 표기된 마감 사양에 따라 석재를 다듬을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콘크리트 드릴 날을 핸드 드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가설재 설치하기

- 공사 규모에 따라 필요한 가설재를 선정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선정된 가설재 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가설재위 자재 · 부속자재를 적재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가설재를 이용하여 자재를 인양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가설재를 옮겨서 작업할 수 있다.

 

5. 운반 보관하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운반중 자재의 파손 확인 ·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반입된 자재는 시공이 용이하도록 시공장소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부자재를 재료별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자재 보관 시 재료가 훼손,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창고를 유지 · 관리할 수 있다.

 

바탕면 준비

1. 바탕면 고르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공구를 사용하여 돌출된 부분을 평탄하게 작업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배관 주변을 충진 · 보강할 수 있다.

※ 충진 : 充塡 구멍 따위를 메꾼다는 뜻으로 쓰이는 충진의 진자는 塡 (메울 전)을 잘못 읽은 것입니다. ‘충진’을 한자로 옮기면 ‘充塡’이 되는데, 여기서 왜 ‘충전’이 아닌 ‘충진’이 되었는지 알 수 있다. ‘充塡’의 뒷글자는 매울 전, 즉 무엇인가를 채운다는 뜻이다. 몸이 쇠잔할 때 우리가 흔히 쓰는 표현이 있다. ‘기운을 충전하다’라는 것이다. 이때의 충전이 바로 ‘充塡’이다. 택시나 장애자 차량은 LPG를 연료로 사용한다. 그 LPG를 연료 탱크에 채우는 곳이 우리는 ‘가스충전소’라는 간판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때의 ‘충전’이 바로 ‘充塡’이다. 따라서 ‘충진’은 ‘充塡’의 잘못된 발음이며, 이는 일본에서 기술을 공부한 어떤 사람이 ‘塡’이 흙 토(土) 변에 참 진(眞) 자로 구성되었음을 보고 ‘전’이 아니라 ‘진’으로 읽은 까닭이다. 국어사전 어디를 찾아보아도 ‘충진’이라는 단어는 없다. 이는 분명 잘못된 단어이다. ‘충진’은 ‘충전’으로 올바르게 고쳐 사용하여야 한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레벨, 고름자, 수준기를 사용하여 바탕면의 높이나 수평, 요철을 확인할 수 있다.

※ 고름자 : 수준기 : 수준기란 지면에 대한 각도를 측정하여 수평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 공구입니다. 건축 현장이나 전기 공사, 배관 공사 등 각도 측정이 필요할 때에 이용합니다. 원형의 유리 재질 용기에 알코올이나 에테르 등의 액체가 들어 있는 구조입니다. 용기 안쪽에는 액체와 기포가 포함되어 있어 측정하려는 것의 각도에 따라 기포가 이동합니다. 기포의 위치로 수평성이나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수준기는 평면이나 구 모양의 물체를 측정하는 평형이나 원형, 각주형 등 다양한 형상의 제품이 있습니다. 또한 더욱 고감도로 측정 가능한 정밀 수준기나 경사 각도를 측정하는 경사계 등도 있습니다. 그 밖에도 측정한 각도가 디지털로 표시되는 제품이나 마그넷이 붙어 있어 측정하려는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는 제품 등 기능이 다릅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측정공구 등을 사용하여 수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공구를 사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 페이스트 : 반죽. 페이스트(영어: paste)는 갈거나 개어서 풀처럼 만든 식품이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매끈한 면은 공구를 사용하여 거칠게 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탕면의 접착 증강제를 바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탕이 패인 부위는 보강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밀실하고 평활하게 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탕면 처리 후 잔재물을 청소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마감재의 두께 · 부착 방법을 고려하여 바탕면을 바르거나 고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탕면의 들뜸, 균열을 검사하고 불량 부분은 보수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닥면은 물매에 맞추어 수평, 경사를 만들 수 있다.

※ 물매 : 지붕 · 낟가리 등의 경사진 정도. 구배(勾配).

 

2. 기준점 설정하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측정기를 사용하여 기준점을 잡고 수직, 수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측정기를 사용하여 줄눈 나누기를 실시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다른 마감재료 연결 부위를 고려하여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3. 줄눈 나누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직각자를 이용하여 작업에 필요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직각자를 대고 바탕면에 선을 그을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규준자를 대고 붙이고자 하는 마감재 한 장의 길이와 높이를 바탕면에 표시할 수 있다.

※ 규준자 : 목재 표면의 평평한 정도를 검사하고 각도를 잴 때에 쓰는 자. 직각자, 자유자 따위가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탕면의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 박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신축줄눈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 박리 : 剝離 detachment. 어떤 것이 분리되거나 갈라진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합니다. 벗기는 것. 또는, 벗겨지는 것. 순화어는 `벗겨내기', `벗겨짐'.

 

타일 붙임

1. 떠붙이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타일 뒷면에 붙임모르타르를 흙손으로 떠 얹고 모르타르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면서 타일을 바탕에 문질러 눌러 붙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붙임모르타르의 두께는 기준규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타일면 평활도 유지를 위하여 나무망치나 고무망치로 두르려 위치를 조정하면서 기준실에 맞춰서 타일을 붙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줄눈 간격재를 설치할 수 있다.

 

2. 압착 붙이기

- 붙임모르타르의 두께는 타일 두께의 반이상으로 하고, 기준 규격을 표준으로 하여 바를 수 있다.

- 모르타르의 경화속도 · 작업성을 고려하여 타일의 붙임면적을 결정하고 붙임모르타르를 바를 수 있다.

- 기준실에 맞추어 타일을 한 장씩 붙이고 나무망치로 두들겨 타일이 붙임모르타르 안에 박혀 타일의 줄눈부위에 모르타르가 타일두께의 기준규격 이상 올라오게 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어긋난 타일은 규정된 시간 내에 수정할 수 있다.

 

3. 접착 붙이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탕면의 건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탕면에 접착제의 바름 면적은 기준규격을 준수하여 접착제용 흙손으로 눌러 바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표면 접착성, 경화정도를 확인 후 타일을 붙일 수 있다.

 

4. 바닥타일 붙이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타일을 바닥 붙임 모르타르 위에 올려놓고 고무망치로 두들겨 평평하게 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타일 붙임면적이 클 때, 규준타일을 먼저 붙여 이에 따라 붙여 나갈 수 있다.

- 바닥의 모서리 구석과 기타 부분의 물매에 유의하며, 줄눈을 맞추어 평탄하게 붙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접착붙이기의 경우 흙손으로 평탄하게 바르고, 빗흙손을 사용해서 필요한 높이로 고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접착붙이기의 경우 건조경화형의 접착제는 주어진 경화시간에 유의해서 타일을 붙일 수 있다.

 

5. 줄눈 넣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타일면과 줄눈의 여분 모르타르 이물질을 제거 · 청소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줄눈 부위를 습윤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줄눈 흙손으로 줄눈 부분에 줄눈재를 눌러 채울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타일면에 붙은 여분의 재료를 부드러운 브러시로 털어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마른 걸레 스펀지로 타일면에 시멘트 자국이 남지 않도록 닦아낼 수 있다.

 

검사 보수

1. 품질기준 확인하기

- 설계도서에 따라 입고된 자재의 외관 · 규격을 검사하여 품질기준에 미달한 자재를 선별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입고된 접착제, 시멘트, 기성배합모르타르, 앵커세트 부자재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붙임 후 시방서 기준에 의거하여 접착력 시험할 수 있으며, 시험결과를 판정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타일 시공의 줄눈간격 적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 시공품질 확인하기

- 설계도서에 따라 측정기를 이용하여 석재 · 타일이 수직 · 수평하게 시공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타일에 줄눈이 품질에 기준에 맞게 시공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붙임 모르타르가 경화된 후 검사봉으로 타일 표면을 두들겨 부착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들뜸, 균열 등 하자에 대한 소리와 울림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모르타르 줄눈시공 후 충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보수하기

- 설계도서에 따라 주위의 타 자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수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분진 ·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 하자에 따른 보수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동일자재 수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바탕면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청소 보양

1. 청소하기

- 재료의 성질에 따라서 청소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계면활성제 ·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타일면을 청소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재료나 철물류가 오염되지 않도록 보양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마감면이 건조하기 전에 물을 뿌려 씻어낼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보양을 하기 전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2. 보양방법 계획하기

- 재료의 성질에 따라 보양 방법 · 재료를 준비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주변 기구에 보호재를 사용하여 부식 ·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모서리, 돌출부에 필요한 보호재를 준비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보양재의 파손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3. 보양하기

- 작업지시서에 따라 바닥 보행용 보양재를 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난방기를 이용하여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 작업지시서에 따라 보호용 피막을 이용하여 보양할 수 있다.

- 시방서에 따라 지정한 기간 동안 보양할 수 있다.

 

 

출제기준 자료실 상세 | Q-net

타일기능사 출제기준(2024.1.1.~2027.12.31.).hwp 다운로드

www.q-net.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