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목공예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출제기준과 공개문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공예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직무분야 : 인쇄 · 목재 · 가구 · 공예 > 목재 · 가구 · 공예 > 목공예기능사
적용기간 2024.01.01 ~ 2028.12.31
직무내용 : 목재 및 목재질 재료와 목공예용 기계 · 공구를 이용하여 맞춤, 조각 및 상감작업 등을 통해 생활 목공예품을 제작하는 직무이다.
필기시험 출제기준
검정 방법 : 객관식
문제수 : 60문제
시험시간 : 1시간
필기과목명 : 목제품 디자인, 목공예 재료, 목공예
<목공예 재료수립>
1. 목재 일반
- 목재의 분류 및 종류
- 목재의 특성 및 성질
- 목재의 제재
- 목재의 사용량 계산식
2. 목재질 재료
- 목재질 재료의 종류
- 목재질 재료의 특성 및 성질
- 제작 방법 및 용도
- 목재질 재료의 사용량 계산식
3. 목재 건조
- 목재의 건조 특성
- 목재의 건조 방법
4. 기타 재료
- 연마제의 종류 및 특성
- 표백제의 종류 및 특성
- 착색제의 종류 및 특성
- 도장재의 종류 및 특성
- 부자재의 종류 및 특성
- 죽재, 등나무재의 종류 및 특성
<목공예 공구준비>
1. 수공구 및 측정공구 준비
- 수공구 및 측정공구의 종류, 특성, 사용법
- 수공구 연마 방법
- 수공구 날물 교체법
※ 날물 : 목재를 깎아내는 쇠를 뜻한다.
- 수공구 및 측정공구의 유지 관리법
2. 전동공구 준비
- 전동공구의 종류, 특성, 사용법
- 전동공구의 사용 적합성 여부
- 전동공구의 유지관리
- 전동공구의 날물 교체방법
3. 목공기계 준비
- 목공기계의 종류, 특성, 사용법
- 목공기계의 사용 적합성 여부
- 목공기계의 각종 날물 교체 방법
<목공예 재단기계 작업>
1. 재단기계 준비 및 조정
- 재단기계 사용법
- 보조도구 및 지그 사용법
- 용도별 날물 특성
2. 재단기계 사용
- 재단기계 작동여부 확인
- 자르기, 켜기, 오려내기 등의 재단 작업
- 보조도구 및 지그 사용법
※ 지그(Jig) : 공작물을 고정하고 안내하기 위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특수 장치로, 작업자가 공작물에 대해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정밀한 작업이 중요한 금속 가공 및 목공과 같은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
<목공예 절삭기계 작업>
1. 절삭기계 준비 및 조정
- 절삭기계 사용법
- 보조도구 및 지그 사용법
- 용도별 날물 특성
2. 절삭기계 사용
- 절삭기계 작동여부 확인
- 면가공, 두께가공, 성형 등의 절삭 작업
- 보조도구 및 지그 사용법
※ 절삭(切削) : 공구를 이용하여 공작 대상 물체에서 그 일부를 깎아내는 것.
<목공예 세공기계 작업>
1. 세공기계 준비 및 조정
- 세공기계 사용법
- 보조도구 및 지그 사용법
- 용도별 날물 특성
2. 세공기계 사용
- 세공기계 작동여부 확인
- 맞춤, 보링, 장부가공, 조각 등의 세공 작업
- 보조도구 및 지그 사용법
※ 세공(細工) : 잔손질이 많이 가는 수공. 검이나 방패, 갑옷 등의 금속 재질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물건이나 보석, 유리, 장식품 등의 장식품들의 마감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서나 망가진 곳을 수리하기 위해 금속이나 보석을 이용하여 하는 공업을 말하거나 기술.
<부조작업>
1. 부조작업 준비
- 수공구 및 전동공구 준비
- 부조에 대한 지식
- 정밀묘사 방법에 대한 지식
- 밑그림 그리는 방법
2. 문양 조각
- 선 표현
- 문양 표현
- 높낮이 표현
- 원근감 표현
- 마감 및 완성도 점검
※ 부조(浮彫) : 어떤 형상을 평평한 면에 도드라지게 새기는 기법. 또는, 그렇게 만들어진 조각(彫刻). 반입체로서, 회화적 요소와 조각적 요소를 함께 가짐. 릴리프(relief). 부상조(浮上彫).
<투조작업>
1. 투조작업 준비
- 수공구 및 전동공구 준비
- 투조에 대한 지식
- 정밀묘사 방법에 대한 지식
- 밑그림 그리는 방법
2. 문양 조각
- 선 표현
- 문양 표현
- 높낮이 표현
- 원근감 표현
- 마감 및 완성도 점검
※ 투조(透彫) : 조각에서, 재료의 면을 도려내어서 도안을 나타냄. 또는 그런 기법. 판금(板金) · 목재(木材) · 석재(石材) 따위의 면을 도려내어 도안을 나타내는 조각법. 누공(漏空).
<목공예 직선상감 작업>
1. 직선상감 작업 준비
- 바탕재 및 상감재 준비
- 전동공구 및 수공구 준비
2. 직선상감 작업
- 문양표현
- 홈가공
- 상감 및 상감재 가공
- 마감 및 완성도 점검
※ 상감(象嵌) : 금속 · 도자기 등의 겉면에 무늬를 새기고 거기에 금 · 은 · 자개 등 다른 재료를 끼워 장식하는 기술. 또는, 그 작품.
<목공예 판재맞춤 작업>
1. 판재맞춤 작업준비
- 맞춤선 표시 작업
2. 판재맞춤 가공 및 조립
- 수공구 및 목공기계로 부재가공
- 가공된 부재의 홈, 턱, 장부 등의 가공 및 가조립 · 조립
- 마감 및 완성도 확인
<목공예품 도장작업>
1. 착색 작업
- 착색제 도구 및 도장 방법
2. 도장 작업
- 천연도료 도구 및 도장 방법
- 화학도료 도구 및 도장 방법
<목공예품 도면 그리기>
1. 도면 작도
- 제도의 기본
- 제도의 표시
- 평면도법
- 투상도 및 투시도법
- 상세도
2. 디자인과 공예
- 디자인 일반
- 디자인 요소
- 디자인 원리
- 한국 공예사
3. 색채 계획
- 색의 기본
- 색의 혼합
- 색의 표시 방법
- 색의 효과
- 색채의 조화
4. 제품시방서 작성
- 제품품질 규정
- 시공순서의 이해
- 제품시방서 작성 방법
<목공예 작업계획 수립>
1. 시제품 검토 수정
- 시제품 생산 공정
- 시제품 분석 방법
- 시제품 수정
2. 작업공정 계획
- 작업공정표 작성 방법
- 공정별 예상 소요시간 산출 방법
- 원 · 부자재 소요량 산출 방법
3. 안전
- 목공예 및 목공기계 작업 안전
- 일반안전에 관한 사항
4. 작업 이상 발생조치
- 작업 공정별 조치에 대한 사항
실기시험 출제기준
실기 검정방법 : 작업형
시험시간 : 6 기간 정도
실기 과목명 : 목고예 실무
<수행 준거>
1. 목공예품 제작 목적에 맞게 목재를 용도별로 선택하고 재료를 준비할 수 있다.
2. 목재 가공을 위한 측정공구, 수공구, 전동공구, 날물 등 각종 목재가공기계를 준비할 수 있다.
3. 재단기계를 활용하여 목재를 켜기, 자르기, 오려내기 등을 작업할 수 있다.
4. 절삭기계를 활용하여 목재를 절삭, 성형 등으로 가공하여 면, 홈, 곡선, 문양 등을 작업할 수 있다.
5. 세공기계를 활용하여 목고예 맞춤, 보링, 장부가공, 조각 등을 작업할 수 있다.
6. 도면에 따라 적합한 조각칼을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다.
7. 목재를 음각한 다음 상감재를 그 부분과 동일하게 만든 후 끼워 넣을 수 있다.
8. 도면에 맞는 목재를 선별하고 맞춤방법에 따라 작업할 수 있다.
<목공예 재료수립>
1. 목재 특성 알기
- 목재의 특성과 장단점을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 재료에 특성에 따라 원자재와 부자재를 구분 준비할 수 있다.
- 목재의 수종별에 따라서 계획된 디자인제품에 적용시킬 수 있다.
- 자재의 품질 등급에 따라 생산업체와 가격정보를 파악하여 정리할 수 있다.
2. 목재질 선택하기
- 목재질 재료의 종류를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다.
- 목재질 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장단점을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 제품의 합목적성에 따른 목재질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3. 목재 건조하기
- 함수율에 따라서 목재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
- 목재를 적재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 천연건조는 수종에 따라 장소와 건조 방법을 계획할 수 있다.
- 인공건조는 수종에 따라 건조 장비와 건조 시간을 계획할 수 있다.
4. 목재 용도별 선택하기
- 제품의 용도에 따라서 목재를 결정할 수 있다.
- 생산공정에 따라 적합한 목재를 결정할 수 있다.
- 제품 용도에 따라서 자재의 수급에 필요한 목재용도별 내용을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목공예 공구준비>
1. 측정공구 준비하기
- 작업 공정표에 따라 목공예품 제작에 필요한 측정공구의 종류를 구별하여 준비할 수 있다.
- 측정공구의 정밀도 확인방법에 따라 측정공구의 정밀도를 확인할 수 있다.
- 측정공구 매뉴얼에 따라 공구를 관리할 수 있다.
2. 수공구 준비하기
- 수공구 대패를 교정하고 날물을 연마할 수 있다.
- 수공구 끌, 조각칼을 교정하고 날을 연마할 수 있다.
- 다양한 수공구를 교정하고 준비할 수 있다.
- 수공구의 상태에 따라 작업에 적합한 상태로 준비할 수 있다.
3. 목고예 공구 날물 준비하기
- 작업계획에 따라 작업내용에 부합되는 기계 날물을 준비할 수 있다.
- 작업계획에 따라 필요한 전동기계와 수공구 날물을 준비할 수 있다.
- 날물의 날이 가공에 적합한지 판단결과에 따라 연마를 할 수 있다.
4. 가공기계 준비하기
- 작업도면에 따라 목공예 제작에 필요한 목재가공용 기계를 선정할 수 있다.
- 선정된 기계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시 조치할 수 있다.
- 해당 가공기계 매뉴얼에 따라 목재가공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
<목공예 재단기계 작업>
1. 재단기계 준비하기
- 작업도면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재단기계를 선정할 수 있다.
- 재단기계를 시운전하여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발견 시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 재단기계의 날물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발견 시 조치를 할 수 있다.
- 작업에 필요한 주변 공간 확보와 작업용 보조도구 및 지그를 준비할 수 있다.
2. 재단기계 조정하기
- 기준대 각도와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 날물의 높이, 날물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 날물을 선정하여 교체를 할 수 있다.
- 보조도구 및 지그를 조정할 수 있다.
3. 재단기계 사용하기
- 기계가 정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자르기, 켜기, 오려내기 등의 재단 작업을 할 수 있다.
- 보조도구 및 지그를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 작업 중 기계에 이상발견 시 비상 정지시켜 안전하게 조치할 수 있다.
<목공예 절삭기계 작업>
1. 절삭기계 준비하기
- 작업도면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절삭기계를 선정할 수 있다.
- 절삭기계를 시운전하여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발견 시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 절삭기계의 날물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발견 시 조치를 할 수 있다.
- 작업에 필요한 주변 공간 확보와 작업용 보조도구 및 지그를 준비할 수 있다.
2. 절삭기계 조정하기
- 가이드펜스의 각도와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 정반과 날물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 정반(surface plate, 定盤) : 정밀한 실험/계측/검사 등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장비 중에 정반이 있습니다. 정반은 정밀 검사, 마킹 및 툴링 설정을 위한 기본 수평 기준 평면으로 사용되는 단단하고 평평한 판이다.
- 날물을 선정하여 교체를 할 수 있다.
- 보조도구 및 지그를 조정할 수 있다.
3. 절삭기계 사용하기
- 기계의 전원 스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켜 정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면 가공, 두께 가공 작업을 할 수 있다.
- 보조도구 및 지그를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 작업 중 기계에 이상발견 시 비상 정지시켜 안정하게 조치할 수 있다.
<목공예 세공기계 작업>
1. 세공기계 준비하기
- 작업도면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세공기계를 선정할 수 있다.
- 세공기계를 시운전하여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발견 시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 세공기계의 날물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발견 시 조치를 할 수 있다.
- 작업에 필요한 주변 공간 확보와 작업용 보조도구 및 지그를 준비할 수 있다.
2. 세공기계 조정하기
- 작업내용에 맞게 가이드펜스의 각도와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 정반과 날물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 날물을 선정하여 교체를 할 수 있다.
- 작업내용에 맞게 보조도구 및 지그를 조정할 수 있다.
3. 세공기계 사용하기
- 기계의 전원 스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켜 정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맞춤, 보링, 장부가공, 조각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 보조도구 및 지그를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 작업 중 기계에 이상발견 시 비상 정지시켜 안전하게 조치할 수 있다.
<부조 작업>
1. 부조작업 준비하기
- 부조도면에 따라 재료를 구분하고 선택할 수 있다.
- 부조도면에 맞게 재료를 가공할 수 있다.
- 부조작업 내용에 적합한 수공구 및 전동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
2. 밑그림 그리기
- 부조도면의 문양을 스케치할 수 있다.
- 부조도면을 보고 문양의 높낮이에 맞게 명암 표현을 할 수 있다.
- 부조도면 문양을 나뭇결에 맞게 정확히 옮겨 그릴 수 있다.
3. 형태선 조각하기
- 부조도면에 따라 조각칼을 사용하여 형태선을 정확하게 칼금 긋기 할 수 있다.
- 부조도면에 맞게 둥근칼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문양을 찍을 수 있다.
- 조각칼을 사용하여 형상의 높낮이를 표현할 수 있다.
4. 세부문양 조각하기
- 부조세부 문양에 맞는 조각칼을 선택할 수 있다.
- 부조도면 문양에 따라 선과 면을 구체적으로 조각할 수 있다.
- 부조도면 문양에 맞게 원근감을 표현할 수 있다.
- 부조문양에 따라 사실감 있게 조각할 수 있다.
<투조 작업>
1. 투조작업 준비하기
- 투조도면 작업 내용에 따라 재료를 구분하고 선택할 수 있다.
- 투조도면을 보고 치수에 맞게 재료를 가공할 수 있다.
- 투조도면작업 내용에 적합한 수공구 및 전동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
2. 밑그림 그리기
- 투조도면의 문양을 스케치할 수 있다.
- 투조도면을 보고 문양의 높낮이에 맞게 명암 표현을 할 수 있다.
- 투조도면에 맞게 나뭇결을 선정하여 문양을 정확하게 그릴 수 있다.
3. 형태선 가공하기
- 투조도면에 따라 적합한 수공구 및 날물을 선택하여 가공할 수 있다.
- 투조도면에 따라 실톱이나 실톱기계를 사용하여 직선, 곡선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 투조도면에 따라 조각하려는 형상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조각할 수 있다.
4. 세부문양 조각하기
- 투조도면 형상의 선에 맞게 칼금 긋기 및 문양 찍기를 할 수 있다.
- 투조도면 문양에 따라 높낮이를 표현할 수 있다.
- 투조도면 문양에 맞게 높낮이를 주어 원근감을 표현할 수 있다.
- 투조도면 문양에 따라 사실감 있게 조각할 수 있다.
<목공예 직선상감 작업>
1. 직선상감 작업 준비하기
- 도면에 치수에 맞게 바탕재를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다.
- 도면에 맞는 상감재를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다.
- 상감작업에 필요한 전동공구 및 수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
- 상감재를 끼워 넣을 때 필요한 접착제를 준비할 수 있다.
2. 직선상감 홈파기
- 도면에 따라 부재에 문양을 정확하게 그릴 수 있다.
- 그무개와 조각도를 사용하여 도면의 치수에 맞게 직선 금 긋기를 할 수 있다.
- 수공구와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도면 치수에 맞게 홈파기를 할 수 있다.
3. 직선상감재 만들기
- 손대패를 사용하여 도면의 요구대로 상감 부재를 균일하게 마름질할 수 있다.
- 연귀 마구리 대를 사용하여 부재를 정확하게 대패질할 수 있다.
- 평칼을 사용하여 상감부재 밑면 모서리를 정확하게 모따기 할 수 있다.
4. 직선상감하기
- 상감할 홈에 접착제를 선택하여 바를 수 있다.
- 상감할 홈 위치에 상감재를 끼워 넣을 수 있다.
- 바탕면 위에 올라온 상감재를 바탕재와 같은 높이로 대패질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목공예 판재맞춤 작업>
1. 판재맞춤 작업준비하기
- 도면을 해독하고 필요한 재료를 결정할 수 있다.
- 목재를 검사하고 구분하여 작업에 맞는 재료를 선별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부재를 치수에 맞게 절단 가공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각 부재의 맞춤부위에 연필이나 금긋기 칼을 사용하여 맞춤선을 표시할 수 있다.
2. 판재맞춤 가공하기
- 맞춤의 방법을 정하고 부재에 알맞은 크기로 등분하여 정확하게 그릴 수 있다.
- 맞춤 선을 따라 수공구나 목재가공용 기계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다.
- 가공된 숫장부를 암장부에 정확하게 옮겨 그릴 수 있다.
- 부재에 홈, 턱, 장부 등은 정확히 가공할 수 있다.
- 가조립을 해보아서 목재의 종류에 따라 알맞게 깎고 다듬어 마무리할 수 있다.
3. 판재맞춤 조립하기
- 맞춤 부위에 접착제를 바르고 조립할 수 있다.
- 조임쇠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조이고 남은 접착제는 깨끗하게 닦아 낼 수 있다.
- 조립된 공작물의 각도를 측정하여 직각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 수공구를 사용하여 맞춤부위를 깎고 다듬어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목공예기능사 실기시험 공개문제
과제명 ; 다용도 꽂이
시험시간 : 6시간
※ 실제 출제되는 시험문제 내용은 공개한 문제에서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문제지는 시험종료 후 본인이 가져갈 수 있습니다.
요구사항
※ 안전사항을 준수하여 지급된 재료로 다음 작업을 완성하시오.
1. 기계사용과 수공구사용 시 안전사항을 준수하며 정밀도에 유념하여 제작합니다.
2. 수험자는 재료의 마름질 작업이 끝나면 수험자의 재료임을 표시하는 감독위원의 확인 표시를 받은 후 작업을 합니다.
3. 작업 중 내부맞춤은 조립 전에 반드시 중간채점을 받은 후 조립을 합니다. (주먹장맞춤, 사개맞춤, 바닥판/칸막이 홈 가공)
4. 주먹장맞춤, 사개맞춤 가공과 상감재 재료준비는 기계를 사용할 수 없으며 수공구만을 사용하여 작업을 합니다. (단, 상감 홈파기 작업은 제외)
5. 제작과정에서 생긴 홈, 틈새, 흠집 등에는 눈 메움을 하지 않으며 연마도구는 일체 사용하지 않습니다.
6. 도면에서 요구되지 않은 부분이 있을 때에는 과제 성격과 관련된 일반 목공예 제작기법에 의한 도면의 모형으로 작업을 합니다.
유의사항
1. 작업 전에 몸 풀기(스트레칭) 운동 등을 실시하고 작업 중에는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적합한 보호구 착용과 기계사용 시 보조도구를 사용합니다.
2. 개인이 지참한 공구 이외에 타인의 공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지급된 재료는 시험 중에 재 지급하지 않습니다. 단, 재료는 시험 시작 전에 확인하여 이상이 있을 때에는 감독위원의 확인 후 조치.
4. 기계사용 시 일시에 수험자가 한쪽 기계에 집중하지 않도록 감독위원 및 관리위원의 지시에 따라 분산하여 기계를 사용합니다.
5. 분진 발생이 많은 전동공구는 주변의 수험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집진장치 등을 설치하여 작업합니다.
6. 과제 치수에 맞게 제작한 보조도구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과제의 특정한 가공을 위해 제작된 모든 고정물
- 특정 각도 및 치수로 고정된 지그(단, 45도, 90도 지그는 사용 가능)
7. 목공기계 사용은 시험장에 비치된 기계만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개인이 지참한 둥근톱 기계, 자동대패, 트리머 테이블, 루터테이블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8. 작업이 끝나면 작품을 지정된 장소에 제출 후 작업 주위를 청소 후 정리 · 정돈합니다.
9. 다음 사항에 대해서는 채점대상에서 제외하니 특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시험에 대한 포기 의사를 표시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 및 타인의 공구를 빌려 사용한 경우
- 시험시간 내에 요구사항을 완성하지 못한 경우
- 재료 및 완성 과제 등에 감독위원의 확인 표시가 없는 경우
- 사전에 승인되지 않은 지그를 사용한 경우
- 시험 중 시설ㆍ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본인 또는 타 수험자의 인명이나 재산에 큰 피해를 일으킬 것으로 감독위원이 합의하여 인정한 경우
- 작업 과정에서 생긴 홈, 틈새, 흠집 등에는 눈 메움 등을 하는 경우
- 제출된 작품의 외관 및 기능도가 지극히 불량하여 목공예 제품으로 작품성이 없다고 감독위원이 합의하여 인정한 경우
- 다음 오작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① 문제의 도면치수와 작품과의 치수오차가 ±5mm 이상일 경우
② 주어진 도면(시험문제)과 상이한 경우
③ 요구사항을 준수하지 않고 작업을 한 경우
④ 일반적 목공예 기법에 의해 제작되지 않은 경우(나뭇결 방향이 다른 경우 등)
지급재료목록
※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 지급재료는 시험종료 후(기권, 결시자 포함) 수험자에게 지급하지 않습니다.
목공예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출제기준과 공개문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자격증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공예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안내 (0) | 2025.05.01 |
---|---|
실내건축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출제기준과 공개문제 (2) | 2025.04.30 |
2023 실내건축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안내 (2) | 2025.04.29 |
목공체험지도사 3급 양성과정 (2)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