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시험

2023 건축목공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출제기준과 공개문제

공마수 2025. 5. 8. 07: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3 건축목공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출제기준과 공개문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직무분야 : 건설 > 건축 > 건축목공기능사

적용기간 : 2024.01.01 ~ 2027.12.31

직무내용: 각종 수공구와 목공기계를 사용하여 목구조의 골조 구성과 일반 건축물의 내ㆍ외부를 목재(건식자재)로 마감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직무이다. 

 

수행준거

1. 도면검토 등을 통해 목공작업을 할 수 있다.

2. 건축목공사의 시공준비, 구조물제작설치, 바닥설치, 벽 설치, 천장설치, 목재창호제작설치 작업을 할 수 있다.

3. 건축목공사 후 보양 및 현장정리, 하자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실기검정 방법 : 작업형

시험시간 : 4시간 30분 정도

실기 과목명 : 목공 작업

 

주요 항목

<건축목공시공 도면파악>

1. 도면기본지식 파악하기

- 건축목공시공 도면의 기능과 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도면에 따라 지시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도면에 표기된 각종 기호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2. 기본도면 파악하기

- 건축목공시공 도면을 보고 구조물의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상세도를 구분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도면을 보고 재료의 종류를 구분하고 가공위치 · 가공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도면을 보고 재료의 종류별로 시공해야 할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3. 현황 파악하기 

- 건축목공시공 도면을 보고 현장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도면을 보고 현장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도면을 보고 구조물의 배치를 파악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도면을 보고 구조물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다.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

1. 안전보호구 착용하기

- 현장안전수칙에 따라 안전보호구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 현장 여건과 신체조건에 따라 보호구를 선택 착용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안전에 부합하는 작업도구와 장비를 휴대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작업안전 보호구의 종류별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안전 시설물들을 파악할 수 있다.

2. 안전시설물 설치하기 

- 산업안전보건법령을 준수하여 안전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다.

- 안전보호구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요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안전시설물의 종류별 설치위치 설치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안전시설물 설치계획도를 숙지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구조물 시공계획서를 숙지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시설물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3. 불안전시설물 개선하기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기 설치된 시설을 정기 점검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안전시설물이 제대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유지되고 있지 않을 시 교체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불안전한 시설물을 조기 발견 · 조치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불안전한 행동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 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을 위하여 안전관리요원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시공 준비>

1. 장비 공구 점검하기

- 도면 · 시방서에 의거 목공시에 필요한 장비 · 공구를 파악할 수 있다.

- 장비 · 공구 매뉴얼에 의거 장비 · 공구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장비 · 공구 사용에 따른 안전수칙을 준수할 수 있다.

 

<구조물 제작설치>

1. 바닥 구조물 시공하기

- 바닥 구조재로 쓰이는 목재의 수종을 파악하고 KS 규격에 준한 재료를 선별할 수 있다.

- 바닥 구조에 쓰이는 각 부재의 명칭, 단면치수, 간격, 최대 허용 경간(span)을 파악할 수 있다.

- 바닥 구조에 쓰이는 부재의 구조적 기능을 알고 결합 방식에 따라 기공, 조립할 수 있다.

2. 벽 구조물 시공하기

- 벽과 기둥 구조에 쓰이는 목재의 수종을 파악하고 KS 규격에 준한 재료를 선별할 수 있다.

- 벽과 기둥 구조에 쓰이는 각 부재의 명칭, 단면치수, 간격, 최대 허용 경간(span)을 파악할 수 있다.

- 벽과 기둥 구조에 쓰이는 부재의 구조적 기능을 알고 부위별 결합 방식에 따라 가공조립할 수 있다.

3. 지붕 구조물 시공하기

- 지붕 구조재로 쓰이는 목재의 수종을 파악하고 KS 규격에 준한 재료를 선별할 수 있다.

- 지붕 구조에 쓰이는 각 부재의 명칭, 단면치수, 간격, 최대 허용 경간(span)을 파악할 수 있다.

- 작성된 도면에 따라 각 부재를 마름질하고 장비 · 공구를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 지붕 구조재로 쓰이는 부재의 구조적 기능을 알고 부위별 결합 방식에 따라 조립할 수 있다.

4. 외부 구조물 시공하기

- 외부 구조물에 쓰이는 목재의 수종을 파악하고 KS 규격에 준한 재료를 선별할 수 있다.

- KS 규격에 준한 방충 · 방부 성능을 가진 재료를 선정할 수 있다.

- 외부 구조물로 쓰이는 각 부재의 명칭, 단면치수, 간격, 최대 허용 경간(span)을 파악할 수 있다.

※ 경간(徑間) : 다리 · 건물 · 전주 따위의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 순화어는 '기둥 사이 (거리)'.

- 외부 구조재로 쓰이는 부재의 구조적 기능을 파악하여 부재별 결합 방식에 따라 조립할 수 있다.

 

<바닥 설치>

1. 바닥 고조틀 설치하기

- 바닥 구조틀이 설치될 바탕면의 평활도 또는 청결을 체크할 수 있다.

- 바닥 구조틀에 사용되는 목재는 습기 침투와 부패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부목을 선별 · 사용할 수 있다.

- 멍에는 유동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이 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 멍에와 장선은 시방서에 의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교차되게 깔 수 있다.

- 바닥 구조틀은 바닥마루판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어야 하며 하중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설치할 수 있다.

2. 마루판 설치하기

- 도면에 따라 마루배열이 일직선이 될 수 있도록 기준선을 설정할 수 있다.

-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제품틈새가 벌어지거나 말리지 않도록 완전히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 마루자재의 수축, 팽창을 고려하여 벽과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3. 걸레받이 설치하기

- 도면에 따라 걸레받이를 벽면의 길이에 맞추어 가공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걸레받이를 샛기둥 또는 나무벽돌에 설치할 수 있다.

- 걸레받이와 마루판 사이에 공기구멍을 확보하여 부재의 수축 팽창에 따른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벽 설치>

1. 벽 구조틀 설치하기

- 도면에 맞게 벽체, 천장으로부터 각재 위치 · 기준점을 정할 수 있다.

- 기준점에 개구부 위치를 파악하여 수평, 수직각재를 설치할 수 있다.

- 각종 보드류 규격 · 이음 부위에 따라 각재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단열재, 방음재, 흡음재를 설치할 수 있다.

2. 보드 합판 붙이기

- 합판 · 보드를 붙이기 위한 마감치수 간격을 파악할 수 있다.

- 합판 · 보드의 재료에 따른 접착제, 철물 등을 선정할 수 있다.

- 각종 구조틀에 선정된 접착제와 철물로 합판 · 보드를 가공 부착할 수 있다

3. 합지판 붙이기

- 도면에 맞게 벽체 천장 등으로부터 벽체 위치 기준점을 정할 수 있다.

- 접착할 벽체의 재료를 파악하여 접착제를 선정할 수 있다.

- 접착제를 벽에 발라 합지판을 수평 · 수직에 맞춰 설치할 수 있다.

4. 몰딩 설치하기

- 도면에 맞게 몰딩 부착 위치기준을 정할 수 있다.

- 규격에 맞게 몰딩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 자재의 특성에 따라 접착제 · 설치장비로 몰딩을 설치할 수 있다.

5. 선반 설치하기

- 도면에 따라 선반설치 위치기준을 정할 수 있다.

- 이동 · 고정 선반을 선별하여 설치할 수 있다.

- 선반단수 크기를 결정하여 수평 · 수직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

 

<천장 설치>

1. 달대 달기

- 도면에 따라 천장 마감높이를 확정할 수 있다.

- 구조보강재의 종횡 방향을 확정 후 일정한 간격에 따라 달대를 설치할 수 있다.

※ 달대(ceiling hanger) : 수평을 유지하려고 천장을 보꾹에 달아맨 나무쪽. 층고가 조금 높은 경우 달대를 시공한다.

달대
달대

- 천장 속 구조물(등박스, 덕트, 파이프 등)에 따라 달대를 조정 설치할 수 있다.

2. 반자틀 설치하기

- 도면에 맞게 일정한 크기로 반자틀을 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 반자틀 : 달대맞이. 반자를 드리기 위하여 가늘고 긴 나무를 가로세로로 짜서 만든 틀.

※ 반자(ceiling) : 단열의 필요상 또는 천장을 장식할 목적으로 지붕 밑바닥 아래에 또 다른 구조물을 매단 것. 여러 가지 전선 및 배기통로가 보이기 때문에 미관상 가리기 위해 반자가 있는 것.

- 천장높이에 맞춰 반자틀을 달대에 고정할 수 있다.

- 고정된 반자틀을 수평기를 사용하여 평활도를 확인할 수 있다.

※ 평활도(平滑度. Smoothness) : 종이의 면 상태를 정의하는 개념의 하나로 종이 표면의 평평한 정도를 뜻함. 

- 마감자재에 따라 반자틀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3. 보드 합판 붙이기

- 합판 · 보드를 붙이기 위한 마감치수 간격을 파악할 수 있다.

- 합판 · 보드의 재료에 따른 접착제, 철물 등을 선정할 수 있다.

- 각종 반자틀에 선정된 접착제와 철물로 합판 · 보드를 가공 부착할 수 있다.

4. 커튼박스 설치하기

- 도면에 따라 커튼 박스 위치를 파악하여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커튼 박스를 고정시킬 수 있다.

- 고정된 커튼 박스를 수평기를 사용하여 평활도를 확인할 수 있다.

5. 등박스 설치하기

- 도면에 따라 등박스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 등박스 위치 확정 후, 달대를 설치할 수 있다.

- 공구를 사용하여 천장높이에 맞춰 구조보강재에 등박스를 고정할 수 있다.

- 공구를 사용하여 곡면재단을 할 수 있다.

6. 천장몰딩 설치하기

- 몰딩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여 시공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 공구를 사용하여 몰딩자재를 여러 각도로 재단할 수 있다.

- 공구를 사용하여 천장몰딩을 고정할 수 있다.

 

<목재창호 제작설치>

1. 창호제작 준비하기

- 도면에 따라 창호의 종류별, 규격별 부재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 도면에 따라 부재를 치수에 맞게 대패질(마름질)을 할 수 있다.

- 각 부재의 맞춤 부분을 정확히 표기하고, 문틀의 턱 따낼 부분에 먹매김을 넣을 수 있다.

2. 창호 제작하기

- 장부는 톱으로 켜기부터 하고 장부어깨를 주어진 각도로 자른 후 끌로 다듬을 수 있다.

※ 장부 : 한쪽 끝을 다른 한쪽 구멍에 맞추기 위하여 얼마쯤 가늘게 만든 부분. 순자(筍子).

암장부와-숫장부
암장부와 숫장부

※ mortise : 암장부, 장붓 구멍 / tenon : 숫장부, 장부

- 좌우 선틀에 장부가 들어갈 밑틀 · 윗틀의 반다지 · 통장부 구멍을 끌로 파낼 수 있다.

※ 반다지(半다지) : 장부 맞춤에서, 장붓구멍을 부재의 폭이나 두께의 반 정도 깊이만큼 파는 일. 또는 이에 맞게 장부를 만드는 일. 

- 각 부재의 장부와 턱을 서로 맞추어 보면서  맞도록 수정할 수 있다.

- 조임쇠를 사용할 부분에 보조목을 대고 수평 · 수직 · 대각선의 치수를 확인하여 고정할 수 있다.

- 대패를 이용하여 치수에 맞추어 면을 가공할 수 있다.

3. 창호 설치하기

- 문틀 · 창틀은 수평, 수직을 정확히 하고 마감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위치를 정할 수 있다.

- 문틀이 움직이지 않도록 문틀과 구조체 사이를 고정할 수 있다.

- 도면에 맞게 공구를 사용하여 본구조체와 틀을 고정할 수 있다.

- 도어 스토퍼와 문선 설치 후 못 · 태커(tacker) 등 작업 부위를 메울 수 있다.

- 문짝 · 창짝의 기능과 개폐 방향을 파악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보양 현장정리>

1. 보양하기

- 시방서를 활용하여 기후 · 재료에 따른 보양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 현장의 시공 상태에 따라 오염이나 파손, 변형 방지를 위해서 보양할 수 있다.

- 마무리공사 직전까지 보양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련공종에 유의하여 보양할 수 있다.

2. 잔여자재 처리하기

- 재사용 가능 잔여자재의 사용가능치수, 상태, 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

- 재사용 가능 자재를 정리하여 현장에서 반출할 수 있다.

- 재활용 가능한 작업 부산물의 재질 ·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지정장소 또는 처리업체를 통해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3. 청소하기

- 지정장소 또는 처리업체를 통해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 현장에 이물질이 묻어 있거나 오염된 부위는 청소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 시공 시 사용한 장비 · 보수하여 관리할 수 있다.

 

<검사 하자보수>

1. 시공결과 확인하기

- 도면에 따라 시공 상태의 완성도를 판단할 수 있다.

- 벽 설치 공사완료 후 육안 · 측량기구에 따라 기둥과 샛기둥의 부재, 고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천장 설치 공사완료 후 육안 · 측량기구를 이용하여 천장수평상태와 천장부재의 허용오차가 시방서의 규정이내인지 확인할 수 있다.

- 바닥 공사완료 후 육안검사를 통하여 접착 · 고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창호설치 공사완료 후 개폐 방향 ·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도면과 시방서에 의거 부적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2. 재작업 검토하기

- 재작업 발생 시 도면 · 시방서에 의해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 도면에 의한 부적합 부위에 대한 재작업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 재작업 발생 시 보수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3. 보수 보강하기

- 하자보수 계획에 의거 인원을 투입할 수 있다.

- 하자보수 계획에 의거 자재 · 장비를 투입할 수 있다.

- 현장 점검을 통해 파악된 하자를 도면과 시방서에 의거 재시공하여 보수 · 보강할 수 있다.

 

실기시험 공개문제

과제명 : 경사지붕 창

시험시간 : 5시간

※ 문제지는 시험종료 후 본인이 가져갈 수 있습니다.

 

요구사항

※ 도면과 같은 경사지붕 창의 현치도를 작성하고 주어진 재료를 사용하여 작품을 완성하시오.

기둥-장부-상세와-배면도
기둥 장부 상세와 배면도
좌측면도와-평면도,-그리고-창호상세
좌측면도와 평면도, 그리고 창호상세
완성도와-정면도,-그리고-조립도
완성도와 정면도, 그리고 조립도

단, 창호 부분에 대한 현치도 작성은 채점기준에 의한 평가에서 제외되며, 불필요한 경우 작성하지 않아도 무방함, 창호부재 간의 결합은 못으로 고정

 

유의 사항

※ 다음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1. 수험자 인적사항의 작성은 흑색 필기구만 사용하여야 합니다.

2. 안전모 및 안전화를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고, 모든 작업은 안전수칙에 따라 진행되어야 하며, 시험이 종료되면 주변을 깨끗이 정리정돈 후 작업 중 발생된 폐자재는 지급된 쓰레기봉투를 활용하여 정리합니다.

단, 현치도 작성 작업에 한하여 필요에 따라 안전모 및 안전화 미착용 가능

3. 시험장시설 중 전동기계(수압대패, 둥근톱기계 등)는 사용 불가합니다.

4. 안전커버가 필수로 장착되어 있어야 하는 전동기계 중 안전커버를 일시탈거하거나 미부착된 장비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5. 다음 사항은 실격에 해당하여 채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안전모 및 안전화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한 경우(현치도 작성 작업은 적용 제외)

 - 안전커버 등이 미부착되어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한 경우

 - 지참준비물 목록 외 전동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 시험 중 시설ㆍ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위해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어 시험위원 전원이 합의한 경우

 - 타인의 공구를 빌려 사용한 경우

 - 시험장 시설 중 수압대패, 둥근톱기계 등 목공용 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하였을 경우. 단, 자동대패기계는 허용.

 - 중간작업과정 생략 또는 특정 부분 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하여 수험자가 별도로 제작한 지그(jig) 등을 사용한 경우. 단, M.D.F 도판을 훼손하여 지그의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실격.

 - 시험시간 내에 요구사항을 완성하지 못한 경우

 - 요구사항의 작업요소 중 누락된 것이 있는 작품

  ※ 작성한 현치도로 부재제작 및 조립이 불가능한 경우 포함.

 - 채점기준표의 치수대상항목에 대해 치수오차 ±10mm 이상일 경우

 - 완성된 작품이 도면과 상이한 경우

6. 톱질을 한 가공면에 끌질을 하거나 연마를 위한 줄 또는 사포(연마지)를 사용하여 작업 결과물을 보정하는 등의 행위를 할 경우 채점기준 내 해당항목을 0점 처리합니다.

7. 복장상태 불량, 작업 중 안전수칙 미준수, 집진커버가 부착되지 않은 각도절단기 사용 시 감점처리 됩니다.

8. 가공완료 후 중간채점에 소요되는 시간은 시험시간에서 제외합니다.

9. 절단(자르기) 기능이 있는 기계 사용 시 각 부재의 기본각도(30도, 45도, 60도, 90도)에만 사용가능하며, 이외의 다른 각은 수공구를 사용하여 작업합니다. 이를 위반하여 작업하였을 경우 채점기준 내 해당항목을 0점 처리합니다.

 

지급재료 목록

지급재료목록
지급재료목록

※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 지급재료는 시험종료 후(기권, 결시자 포함) 수험자에게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3 건축목공기능사 국가자격시험 출제기준과 공개문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www.q-net.or.kr

 

반응형